레이블이 코뮌(Commun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코뮌(Commun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2월 14일 토요일

실증주의

실증주의가 무엇일까? 실증주의<positivism> (實證主義)

프랑스의 철학자 오귀스트  콩트의 연구로 뚜렷한 모습을 갖춘 철학 이데올로기이자 철학운동.

기본 주장은, 첫째, 사실에 관한 모든 지식은 '실증적' 경험자료를 바탕으로,
둘째, 사실의 영역을 넘어서면 순수논리학과 순수수학의 영역으로 한다는 것이다.

실증주의자에게는 관찰과 경험의 증언에 엄격히 따르는 것이 절대명령이다.
형이상학이란 실재의 본성에 관한 사변에 불과하며 이 사변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어떤 증거도 허용하지 않는다.

한편 윤리학에서 대부분의 실증주의자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나 이와 비슷한 종류의 윤리 규범을 받아들인 공리주의자였다.
흠 이해 잘 안된다.
그렇다면 콩트는 뭐 하는 사람인가?
위키 피디아를 살펴보니 프랑스 철학가란다. 종교를 대체할 수 있는 철학으로써 실증주의를 주장했다고 하니 실증주의가 대단하긴 한가보다.

사회학을 자연법칙에 종속된 하나의 과학으로 만들고자 했으며 관찰에 기초하여 사회를 연구했다, 결국 사회현상을 물리학의 영역처럼 연구 가능한 학문으로 만들고자 생각했다는것인듯.

결국 정리하자면 관찰이나 연구를 통해 사회 현상의 근원 혹은 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 정도로 생각하면 되려나? 이것은 현대의 경험주의와는 다르다 하는데 크게 구분하긴 힘든 듯..

인간이나 생태 구성원들의 모든것을  분석해내고 이론화 할 수 있다는 다소는 우월적인 사고에서 탄생한 학문인 듯 하다, 19세기에 물리학이 모든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해 낼때 그 당시 사회 분위기는 조만간 인간이 신의 영역에 닿을 듯 흥분해 있었다고 하는데 그 당시 사회 분위기가 학문을 작그한 케이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틈이 나는대로 실증주의자들의 샘플을 생각해 보면.
엘리엇의 걸적인 미들마치에서 나오는 두 명의 환원 주의자. 도로시아 브루크의 거만한 남편 에드워드 커서본은 다양한 종교적 경험들 사이에 숨겨진 연관성을 밝힐 목적으로 "신화학 전해"를 저술하고자 한다.
야심만만한 시골의사 티시어스 리드게이트는 "생명의 원초적 조직"을 찾고 있다.





2007년 10월 27일 토요일

베두인 족..

사막의 유목민, 어찌 그 처럼 척박한 땅을 토대로 살아올 수 있었을까? 그들은 모두 인내심이 뛰어나고 조용한 사람들 일 것 같다. 사막에서 욕심을 내 봐야 얼마나 갖을 수 있겠으며, 유목을 하는데 짐이 많아 무엇하리..그들의 영혼은 밝고도 밝을 것이다.

네이버에서 따온 정말 재미없고 딱딱한 정보를 붙여 보면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중근동, 북아프리카의 사막·반사막 일대에 사는 아랍계 유목민이다. 바다위의 집합명사 바두 또는 구어복수형 바다윈이라는 아라비아어를 유럽인이 사투리로 발음하여 베두인이 되었다. 대부분 목축을 하고 있으며 겨울 우기에 는 사막지역으로 이동하며 다니다가 여름 건기에는 경작지역으로 되돌아간다. 전통적으로 농경을 위시한 다른 육체 노동을 천시 해 왔으며 정치적·경제적 발달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대부분이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시 리아는 이들의 영토를 국유화했으며 요르단은 염소 목축을 극히 제한했다. 그 후 베두인족 목축민과 정착 농경민 사이에 토지 사용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심화되었다. 전통적인 베두인족은 그들의 생존기반이 되는 동물의 종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가장 위 세가 높은 집단은 낙타 유목민으로서 요르단,시리아,이집트,이라크의 농경지역 주변에 주로 살고 있다. 그 밑의 서열에 속하는 집단은 양,염소,유목민으로서 요르단, 시리아,이라크의 농경지역 주변에 주로 살고 있다. 소유목민은 주로 남아라비아와 수단에 서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바카라(또는 바가라)족으로 불린다.

제 1차세계대전 후에 베두인은 그들이 이동하는 지역정부의 통제에 따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베두인족 내부의 반목과 변경부락 에 대한 습격이 사라지게 되고 평화적인 상업적 관계가 자리잡게 되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군대복무와 건설노동 참 여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근년에는 상품경제의 물결에 휩쓸려 트럭등이 낙타를 대신해 가고 있어 급변하고 있다. 한편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하여 여느 아라비아 제국에서나 베두인 정착화 정책이 취해지고 있다

지리적 위치
아라비아·이라크·시리아·요르단 지역에 살면서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목민족이다. 중동지역 전체 인구에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데도 지역적으로는 중동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 체 성
종 족 명 : 베두인 (Bedouin)
0주요언어 : 아랍어 (Arabic Hassniya)
주요종교 : 이슬람교
부수종족 : 아랍족(94.12%), 곱트족(5.82%), 기타(0.06%)

사회구조
가족 구조 : 대가족제도
권위/통치/규칙 : 부계혈통, 외혼제, 일부다처제
종 교
토속종교 : 이슬람
종교의식/ 개념 : 전국민은 어떤 형태로든 종교를 가지고있으며 하나님의 존재를 믿지 않는 사람이 없으 며 종교가 국민정서에 크게 영향을 주고있음 이슬람은 평화라 는 의미이며 이 평화는 신에게 절 대 순종함으로서 얻어지는 것으로 믿고있 음. 이 종교는 사회의 정치,종교, 법률, 윤리,일상생활 등 모든 영역을 관할하 는 포괄적인 종교임.

영적감수성 : 우주의 모든 현상을 신의 뜻으로 받아들이는 숙명론적인 경향이 강하여 때로는 심지어 자신의 잘 못을 자기의 탓보다는 신의 의지로 돌리기도 함.

명 절
삼무나심 : 매년 3,4월이 되면 약 50일간 계속되는 캄신이라는 모래바람이 부는데 있는 아파트의 창틈을 잘 닫아도 모래먼지가 집안을 뒤덮는 시기이며 바로 이러한 모래바람이 끝나는 날 음식을 준비하여 야외, 공워, 강가등에 나가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하루를 보내는 명절임
아스르 사나 히즈라야 : 이슬람력으로 신년 1월1일을 기념하는 날
이둘피뜨르 : 라마단 단식이 끝나고 3일간 계속되는 명절
이둘 아드하 : 메카순례기간 동안 꾸란의 5행중의 하나인 자선을 실천하기 위해 양을 사서 도살 한 후 이웃과 가난한자들에게 나누어 주는 축제기간이며 이슬람의 가장 큰 명절중의 하나임.
라마단 : 이슬람력의 9월에 해당하며 모하멧이 계시를 받은 달임. 라마단은 한달간은 해가떠서 질때까지 일체 먹지도 않고 마시 지 않으며 단식의 금욕생활을 지속하며 해가지면 오후6시, 밤 11-12시경, 새벽 4시경 세차례에 걸쳐 식사를 함

2007년 6월 18일 월요일

perl을 위한 wsdl파일 자동 생성기

내용인 즉슨
perl은 환상적인 언어라 자동으로 타입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SOAP Client를 작성함에 있어서도 환상적이다. 하지만 java, c++, vb등의 언어는 서버와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서는 WSDL파일이 있어야만 한다. WSDL파일은 서버와 상호 호환이 가능한 모든 데이터 구조가 정의 되어 있다.

그러므로 PERL로 생성한 웹 서비스도 다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선 WSDL을 서비스 해야 한다.

http://dag.wieers.com/rpm/packages/perl-WSDL-Generator/

Generate wsdl file automagically.
You know folks out there who use another language than Perl (huh?) and you want to release a SOAP server for them

1/ that's very kind of you 2/ you need to generate a wsdl file 3/ this module can help Because Perl is dynamically typed, it is a fantastic language to write SOAP clients, but that makes perl not-so-easy to use as SOAP server queried by statically typed languages such as Delphi, Java, C++, VB... These languages need a WSDL file to communicate with your server. The WSDL file contains all the data structure definition necessary to interact with the server. It contains also the namespace and URL as well.

Latest release: 0.02-1.2

Website: http://search.cpan.org/dist/WSDL-Generator/
License: Artistic
Group: Applications/CPAN
Upstream Contact: Pierre Denis <pdenis at fotango dot com>
RPM Authority: dries :: Dries Verachtert <dries at ulyssis dot org>

perl에서 web service읭 wsdl사용

use SOAP::Lite;

$a = 45;
$b = 55;
print "Adding values ", $a, " and ", $b, "\n";
print SOAP::Lite
    -> service('file://c:/voices/perl/service1.wsdl')
    -> Add($a, $b);

#===============================================

파일일 경우엔 위와 같이 사용
http일 경우엔 http://host/voices/perl/service1.wsdl
로 사용한다.

2007년 6월 15일 금요일

Web Service Track

1. XML Web Service의 소개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진화

  -웹 서비스관련 기술 스택

  -웹 서비스 시나리오


2. XML Web Service 아키텍쳐

  -웹 서비스 아키텍쳐 /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

  -웹 서비스 아키텍쳐 구성의 역할

  -웹 서비스 프로그래밍 모델


3. 웹 서비스를 이루는 기술소개

  -HTTP 기본

  -XML 기본

  -SOAP

  -.NET Framework에서 SOAP 사용하기


4. Consuming XML Web Services

  -WSDL Document

  -Web Service Discovery

  -Web Service Proxies

  -웹 서비스 Consumer 제작하기


5. 간단한 XML Web Service 구현하기

  -Web Service Project 생성

  -Web Service Method 구현

  -상태관리

  -디버깅


6. XML Web Service의 출판 및 배포

  -웹 서비스 배포

  -UDDI의 소개

  -웹 서비스 출판

  -UDDI 사용하기


7. XML Web Service 보안

  -보안의 소개

  -SOAP 해더를 이용한 인증

  -Role-Based Security

  -Code Access Security

  -Encryption


8. XML Web Service 디자인

  -Performance

  -Reliability

  -Versioning


9. Global XML Web Services 아키텍쳐

  -GXA

  -Security & Licensing


2007년 6월 14일 목요일

XML-RPC와 SOAP Web Service

XML-RPC is a protocol that allows programs of different languages on different machines to easily talk to each other. By sending a well-defined XML document over unadorned HTTP, a client program can make a remote procedure call to a server. The server processes the request and wraps its response in another well-defined XML document that is sent back to the client over that same HTTP connection.

XML-RPC는 이종 머신상의 이종 언어들이 각자 쉽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일종의 프로토콜이다. 잘 정의된 XML문서를 HTTP를 통해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프로시져를 호출 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마찬가지로 잘 정의된 XML문서로 답변한다.

 

Because procedure requests and responses are all in XML, each end of the RPC connection need not be written in the same language or even for the same platforms

프로시져의 호출과 답변이 XML 이루어 지기 때문에 같은 환경과 언어가 필요하지 않다.

 

Clients code to an agreed-upon API that a Web service listener implements. Either side of the API fence can change without affecting the other side. In this way, Web services in general, and XML-RPC in particular, can help break down the Berlin Wall of incompatible OS platforms and make language-agnostic software network components.

클라이언트의 서비스Api 지원한다. Xml-RPC Web Service 일반적인 방법은 Web Service이고 XML-RPC 특별한 방법이다.

 

Although less famous than its younger sibling SOAP, XML-RPC is a simple and easy tool that can help you integrate even the most uncommunicative of systems

서비스보다 유명하진 않지만 XML-RPC 통신할 없는 시스템조차도 관리할 있는 쉬운 방법이다.

 

Where SOAP is a generalized, object-oriented, messaging protocol that is designed to carry arbitrary XML payloads across any network protocol, XML-RPC is a simple procedural protocol designed only to make remote function calls

SOAP 서비스는 XML 전송하기 위한 객체 지향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인데 반해 XML-RPC 단순 리모트 펑션을 부르기 위한 방법 하나이다.

 

CPAN의 RPC::XML 모듈을 사용한다.

 

결론: SOAP Web Service와 XML-RPC는 다름 ㅋㅋㅋㅋ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잡한 행동 보다는 서버의 프로시져를 단순히 CALL해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두 개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하면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주제들

주제를 정해서 공부 하려 한다.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모아서 같이 했으면 하는데.
혼자서 넘기 힘든 높은 산은 여럿이서 넘는다.
오르라인 모임이라도 하고 싶은데..ㅋㅋ 관심 있으신분은 댓글 ㅋㅋ

1. Perl Web Service VS java Web Service

2. XML-RPC
무엇이고, 어떻게 구현이 가능한가

3. XML-RPC / Soap으로 구현한 Web Service의 차이?

4. Perl SOAP Web Service도 binary 처리가 가능한가?

코뮌 [Commune] 이란?

프랑스 중세의 주민자치체.

12세기에 북프랑스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성립되었다. 본래 서로 평화를 서약한 주민의 공동체로서, 사회의 혼란이나 영주권()의 남용에 대해서 사회질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주민이 상호부조를 명세하고 단결하며 왕 또는 영주로부터 특별히 사회단체로 인정을 받은 것이다.

서약을 깨뜨린 사람은 집을 파괴당하거나 추방되었다. 농민의 자치체도 있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시민의 자치체, 즉 자치도시가 많았는데 보통 시장(), 기타의 임원을 선출하여 자치행정을 행하고 재판권도 가지고 있었다. 중세 말기에 왕권의 간섭이 강화되자 도시는 과두정치화하여 백년전쟁의 혼란 속에 쇠퇴해갔으나 자치체의 개념만은 1871년의 파리 코뮌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후에도 존속하였다.

네이버 백과사전의 정의.

호모 쿵푸스를 보고 지식의 코뮌을 만들고자 생각하게 되었다.
혼자서는 넘기 힘든 높은 산도 함께라면 넘을 수 있다고 생각하며..